반응형
정부나 지자체에서 주는 돈, 이번 8월에도 꽤 많은데요. 몰라서 못 받는 분들이 아직도 많아요.
1. 에너지바우처 하절기 신청 (냉방비 지원)
무더위 속 전기요금이 걱정된다면, 에너지바우처 신청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. 2025년 5월부터 시작된 하절기 바우처는 8월 말까지 신청 가능하며, 지원금은 최대 35,000원 상당이에요.
- 대상: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중 노인·영유아·장애인 등 포함 세대
- 신청 방법: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
- 사용 방법: 전기요금 자동 차감 방식
2.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(선정 발표 시기)
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, ‘희망두배 청년통장’ 대상자 발표를 주목하세요. 7월 말까지 접수가 완료된 신청자를 대상으로 8월 중 최종 선정자 발표가 진행됩니다.
- 지원 내용: 매월 일정 금액 저축 시, 서울시가 동일 금액 매칭 (2배 적립)
- 신청 대상: 서울시 거주 만 18~34세 청년 중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- 향후 일정: 발표 후 통장 개설 및 적립금 운영 시작
3. 문화누리카드 – 잔액 확인 & 8월 소비 독려
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이 발급받은 문화누리카드 11만원, 아직 쓰지 않았다면 지금 확인하세요. 8월은 공연·도서·여행 등 소비가 가장 활발한 시기로, 다양한 이벤트도 함께 진행 중입니다.
- 사용처: 영화관, 서점, KTX, 숙박 예약 등
- 확인 방법: 문화누리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 로그인 후 잔액 확인
- 유효기간: 2025년 12월 31일까지 (단, 미사용 시 이월 불가)
4.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– 2차 접수 준비
1차 접수는 종료되었지만, 2025년 9~10월 예정된 2차 접수를 앞두고 미리 서류를 준비해두면 유리해요.
- 대상: 만 18~39세 경기도 거주 청년 중 면접 응시자
- 지원금: 면접 1회당 5만 원, 최대 10회 (총 50만 원) 지역화폐로 지급
- 신청 플랫폼: 잡아바 어플라이 (바로가기)
5. 농어민 수당 – 일부 지자체 8월 지급 중
전남, 전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농어민 공익수당을 8월 중 지역화폐 형태로 지급 중이에요. 지역별로 일정이 다르니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꼭 확인해보세요.
- 지원 대상: 실제 농·축·임·수산업에 종사 중인 농어민
- 지급 시기: 지자체별로 6~9월 분산 지급
- 지원 금액: 보통 연 60만원, 분기별 또는 일괄 지급
놓치지 않으려면 지금 확인하세요
지원금은 ‘대상자’가 되기만 하면 받을 수 있지만, 기한 내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되는 경우가 많아요. 위에 소개한 제도들은 모두 8월 기준으로 유효하거나 관련 일정이 잡힌 내용이니, 한 번쯤 본인과 가족 조건을 체크해보는 걸 추천해요.
반응형
'셀러 정보창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G머니, 네이버페이로 바꿀 수 있을까요? (2) | 2025.08.02 |
---|---|
영화할인쿠폰으로 천 원 영화 가능?! 꿀팁 총정리 (2) | 2025.08.01 |
오토바이 전면 번호판 스티커, 참여하면 혜택도 챙길 수 있어요 (2) | 2025.08.01 |
티머니 애플페이 드디어 출시! 자동충전·사용법·약관까지 완벽 가이드 (1) | 2025.07.29 |
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관리비 혜택, 몰라서 못 받는 건 손해! (3) | 2025.07.29 |